데이터분석 준전문가(ADsP) 시험 합격 후기
ADsP 시험 결과가 어제 나왔다!
결과는 수월하게 합격😊
역시 1과목 데이터 이해 부분이 가장 걱정되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점수가 가장 낮다.
이 시험을 준비할 때도 2, 3과목보다 1과목이 점수를 받기 가장 어렵다고 들었는데 정말 그랬던 것 같다.
※ 통계 수업을 듣고 관련 공부를 한 경험이 있는 사람의 후기라는 것을 참고하길 바란다.
1. 참고 자료 및 사이트
📚 사용한 교재
[ADsP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] (2022)
흔히 민트책이라고도 부르는 문제집이다. 이 교재의 좋은 점은 개념 설명과 기출문제가 함께 들어있다는 것이다. 기출문제들이 모의고사 형태로 복원되어서 수록되어있기 때문에 시험 연습하기에도 좋다. 이 한 권 외에는 다른 문제집은 사용하지 않았다.
📃 참고한 사이트
▶ 네이버 카페 '데이터 전문가 포럼 (빅데이터분석기사, ADP, SQLP, DAP 등)' https://cafe.naver.com/sqlpd
SQLD를 준비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위 카페를 가장 많이 이용했다. 이번엔 그렇게 자주 이용하지는 않았지만 해설을 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때 참고하기 좋았다.
2. 공부 방법
나에게 ADsP는 특별히 어려운 개념이 없어서 한번 쭉 훑어보는 식으로 공부했다. 공부 기간은 총 2주 반 정도 걸렸다. 통계를 공부한 적이 있는 사람이고, 특히나 관련 개념을 잘 아는 사람이라면 1주만 공부해도 충분할 듯하다. 나의 경우에는 기억이 나지 않는 것들이 꽤 있었지만..ㅎㅎ 통계 공부를 한 사람이라면 공부할 때 관건은 1과목이다. 완전히 암기 그 자체인 과목이라 시간이 좀 걸린다.
위 이미지는 내가 공부한 일정표이다. 사용한 교재가 30일 안에 완성할 수 있도록 공부 분량을 구분해놓았는데, 하루에 보통 3~4일치 분량씩 공부했다. 3~4일치 분량을 하는 데에는 1.5~2시간 정도 걸렸다. 위에는 27일차까지만 써놓았지만 남은 18, 19, 20일에 틀린 문제 오답정리, 모의고사 풀이를 진행했다.
ADsP가 SQLD보다 준비하기 훨씬 쉬웠다. 하루당 공부하는 시간도 더 적었고, 기간도 짧았다. 문제를 많이 풀어보고 틀렸던 문제를 다시 틀리지 않도록 공부하는 것이 이 시험 합격의 핵심인 것 같다. 틀렸던 문제를 계속 헷갈려해서 시험장까지 가서도 헷갈려했다...